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무·경제통상

코트디부아르 정무 동향

  1. 정무·경제통상
  2. 코트디부아르 정무 동향
  • 글자크기

주재국 정무 동향(대통령 신년 대국민 연설)

작성자
주 코트디부아르 대사관
작성일
2025-01-04

알라산 와타라 주재국 대통령은 12.31.(화) 저녁 8시 공영방송 송출 대국민 연설(Message à la nation)을 통해 △부르키나파소 억류 헌병 귀환, △주요 사회 정책 성과 및 계획, △주재국 경제 동향 등에 대해 언급한바 연설 주요 내용 아래 보고함.


ㅇ (부르키나파소 억류 헌병 귀환) 2024년 주재국은 평화와 안보를 공고히 하고 국가적 화합을 강화하면서 국가 발전을 지속해 왔음.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화를 통해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바, 23.9월 불법 사금 채취업자를 체포하려다가 부르키나파소 영토에서 억류되었던 주재국 헌병 2인이 협의를 통해 주재국으로 무사히 귀환(11.29.)하였음을 기쁘게 생각함.


  - 억류되었던 헌병들의 용기와 끈기를 평가하고, 주재국 군·헌병대·경찰 등 모든 치안·안보 인력의 노고를 치하


     ※ 12.5.(목) 주재국 정부 대변인은 부르키나파소에 억류되었던 헌병들이 Faure Gnassingbé 토고 대통령의 중재 덕분에 귀환할 수 있었다고 하고, 와타라 대통령이 Gnassingbé 대통령의 중재에 깊은 사의를 표명하였다고 발표


       - Jeune Afrique 등 주요 언론은 주재국 헌병 2인과 24.3월 주재국 북동부에서 체포되었던 부르키나파소 2명(군인 1명·자경단 1명) 간 맞교환이 토고에서 이루어졌다고 보도


ㅇ (문화 성과) 2024년 주재국은 제34회 아프리카네이션스컵(CAN)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고, 동 대회에서 주재국 축구 대표팀(코끼리)이 역사상 3번째 우승을 차지한바, 큰 영광을 안겨준 국가 대표팀에게 국민을 대표하여 감사를 표함.


  - 한편, 24.12월 주재국의 전통 음식 아티에케(Attiéké)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은 모두의 자부심임. 또한 본인은‘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평화상’ 수호자로 임명된바, 이 상의 가치 및 위상을 높이고자 노력해 나갈 것


ㅇ (항공노선 확장) 주재국 경제·관광 잠재력에 걸맞도록 우푸에-부아니 국제공항을 확장 및 개발할 예정이며, 주재국 국영 항공사 에어 코트디부아르는 수개월 내 파리를 시작으로 워싱턴, 뉴욕, 런던, 제네바 등 장거리 노선을 개설할 예정임.


ㅇ (기본교육 확대) 주재국 정부는 사회·경제적 배경과 관계없이 모두가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 중임. 매년 더 많은 주재국 학생들이 초·중등교육 과정을 수료 중이며, 공립 중·고등학교 수가 2011년 294개에서 2024년 902개로 3배 증가하였고, 2025년에는 중학교 100개 및 여성 고등학교 15개를 건립할 계획임.


ㅇ (대학교육 확대) 상페드로, 봉두쿠, 오디엔네 대학교의 건립이 진행 중인바, 2011년 3개였던 주재국 국립대학교의 수가 2025년에 10개로 늘어날 예정이며, 야무수크로 폴리테크닉대학이 2024년도 아프리카 프랑스어권 대학 서열 2위를 차지(1위: 모로코 무함마드 5세 대학)하는 등 주재국 고등교육 역량도 지속 발전 중임.


ㅇ (보건) 보건 인프라가 확대되며 전 국민 80%가 5km 이내에서 보건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2011년 당시 66%), 현재 1,600만 명의 국민이 의료보험(CMU: Couverture Maladie Universelle)에 가입하였음. 한편, 2025년에는 종합병원 9개, 지역병원 4개, 아보보 대학병원, 부아케 심장병원 등 건립이 지속될 예정임.


ㅇ (전기) 현재 주재국 94% 지역에 전력이 보급되고 있으며 2025년 말까지 전력 보급률 100%를 목표 중임. 한편, 모두를 위한 전력(Electricité pour tous) 사업을 통해 200만 가구가 1,000 세파만을 내며 저렴하게 전력을 공급받고 있음.


ㅇ (상수) 2024년 모두를 위한 물(Eau pour tous) 사업을 통해 200개 지역을 대상으로 상수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광역 아비장 및 지방 곳곳에서도 상수도망 확충 공사가 활발하게 진행 중임.


ㅇ (주택) 취약 계층 보호 및 불평등 완화를 위해 현재 23만 가구가 혜택을 받고 있는 사회 안전망 프로그램을 통해 2025년 7만 가구를 추가로 지원할 예정임. 또한, 개발업자 대상 세제 혜택 및 도로 인프라 투자 등을 통해 현재까지 약 4만 채의 사회주택이 건설되었으며, 더 많은 사회주택을 공급할 예정임.


ㅇ (거시경제) 2024년 주재국 경제성장률은 6.1%를 기록하며 서아프리카국가경제공동체(ECOWAS) 평균 4.2%를 상회하였고, 2025년 경제성장률은 7%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주재국 부채 비율은 GDP 대비 56%로 서아프리카경제통화연합(UEMOA) 평균 70% 대비 안정적인바, 경제 파트너들의 신뢰를 유지·강화하기 위해 거시경제 안정성 및 재정 건전성을 지속 개선해 나갈 것임.


  -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해 식품 생산량 확대 정책을 추진 중이며, 쌀 생산량이 2011년 84만 톤에서 2024년 200만 톤으로 증가한바, 추세를 이어나가 식량 주권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2025년에는 건전한 거버넌스, 부패·자금세탁 방지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더욱 경쟁력 있고 매력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할 예정


ㅇ (에너지) 에너지·광업 정책을 통해 대규모 석유·가스·금광을 발견하며 주재국은 지역 내 에너지 허브로서 지위를 강화하고 있음. 한편, 천연자원 개발은 환경 보호 문제와 연관되는바, 주재국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전체 에너지 생산의 45%로 높이기로 목표함.


     ※ 주재국 21.9월 Baleine 유전(석유 25억 배럴 매장), 24.3월 Calao 유전(석유 10~15억 배럴 매장) 발견, 현재 일산 석유 4.5만 배럴에서 향후 최대 20만 배럴까지 증가할 예정


ㅇ (여성·청년) 여성지원기금을 통해 여성의 자립 및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42만 명 이상의 여성이 소득 창출 활동을 위한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였음. 한편, 청년들은 국가의 미래인바, 청년 역량 개발을 위한 정책을 다수 추진 중이며 현재 수천 명의 청년이 청년 지원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았음.


  - 한편, 문화·관광·디지털 분야는 청년들의 삶과 고용을 개선할 수 있는 무궁한 기회를 제공하는바, 이러한 기회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2025년도에 △최첨단 기술 인프라, △스타트업 지원센터, △문화·예술 창작 및 진흥 공간 등을 결합한 혁신문화단지(Cité de l'innovation et de la culture) 건립을 착수할 예정


ㅇ (2025 대선) 2025년 실시될 대선은 주재국 국민의 성숙한 정치의식, 주재국 제도의 견고함 및 민주주의 뿌리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평화롭고 투명하며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대선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것임을 약속함.

loading